문화가 널리 퍼지기 위해선 상상력이 필요하다. 문화에 상상력을 더해 만든 신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문화를 퍼트리는 역할을 수행했다. 요즘도 마찬가지다. 구전적 상상력이 시각적 상상력으로 변했을 뿐이다. 다양한 시각과 아이디어로 우리 문화를 퍼트리는 디자인 브랜드 3곳을 만나 고전 문화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들어봤다.
- 글
- GEEP
"우리의 문화가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걸 알려드리고 싶어요."
이감각
이감각은 한국적인 이야기와 조형에 기반해 디자인 작업을 전개하는 브랜드다. 대학 동기였던 이희승, 이해인 디자이너가 마음을 모아 2018년 설립했다. 둘은 과거 이야기 속에서 한국 고유의 미감을 발굴하고 생명력을 불어넣어 이감각만의 위트를 담아 현재를 표현하는데, 이렇게 재탄생한 미감은 가방과 휴대폰 케이스, 포스터와 굿즈 등으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영감을 받은 모티브를 재해석하고 제품에 반영할 때 이감각만의 방법이 있을까요?
정해진 방법이라기보다는, 매일 한국적인 것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 편이에요. 아무리 사소한 아이디어라도 한 명이 생각을 던지면 다른 사람이 서랍 속에 담아두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쓴다고 말할 수 있겠네요. 여러 아이디어를 완전히 새롭게 조합해 이감각만의 이야기를 만들기도 합니다. 저희는 모티브의 차용을 넘어 한국의 미학을 담고자 하기 때문에 요소의 형태를 따와 답습하는 방식을 가장 경계하며 작업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가치를 현재와 연결하기 위해 고민합니다."
오이뮤








"우리나라의 디자인 요소에 저희의 소망을 담아 전합니다."
은혜직물
강정주, 조은혜 공동 대표가 운영하는 은혜직물은 패브릭을 기반으로 디자인 작업을 하는 브랜드다. 2013년, 각각 영화와 옷을 제작하던 둘은 우리 고유의 아름다움을 소재로 직물 제품을 만들기 위해 은혜직물을 설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