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로 갖다 붙일 수 없는 ‘클래식’이란 단어. 그러나 위풍당당하게 클래식을 수식어로 달고 있는 디저트들이 있다. 돌고 돌아 다시 찾게 되는 맛! 대체 불가한 클래식 디저트의 매력은 무엇일까?
- 글
- 보니룸
아는 맛이 더 맛있는 법
클래식 스콘

음식에 진심인 한국인들은 특정 음식 하나가 유행하면 금세 화려한 K-푸드로 재탄생 시킨다. 이제는 어느 카페를 가도 쉽게 볼 수 있는 ‘스콘’도 그중 하나다. 초코칩이 가득 박힌 스콘, 유행에 유행을 더한 앙버터 스콘, 시판 과자까지 합세한 로투스 스콘 등 당장 떠올려봐도 그 종류가 끝이 없다. 스콘 전문점이라 하면 하루에도 열 가지 이상의 제품이 줄지어 나올 만큼 다양한 라인업으로 개성 있는 레시피가 가득하다.
장담하건대 한국인의 메뉴 배리에이션 속도는 전 세계 그 누구도 쫓아올 수 없다. 맛있는 것에 맛있는 걸 더하다니! 그냥 지나칠 수 없지! 도장 깨기 하듯 하나씩 맛보게 된다. 하지만 이 맛 저 맛 경험하고 나면 어느새 다시 본연의 맛을 찾는다. 다양한 부재료에 가려졌던 기본 맛이 그리워지는 것이다. 유행이 돌고 돌아 클래식함을 찾는 것처럼.
‘클래식’이라는 단어를 음식에 붙이면 화려한 장식을 뺀 기본 모습이지 않을까. 나에게 클래식 스콘은 어느 빵에나 들어가는 재료인 밀가루, 버터, 우유, 소금, 설탕만으로 맛있게 만드는 디저트다. 시골에서 쪄먹는 감자처럼 삼삼한 느낌, 그 단순함이 바로 꾸밈없는 클래식의 가장 큰 매력이다. 자극적인 끌림은 없지만 질리지 않아 계속 생각나는 맛, 버터 향을 잔뜩 내뿜으며 겉은 바삭! 속은 촉촉한 스콘은 아는 맛이기에 더 지나칠 수 없다. 기본은 이렇게나 강력한 것이다.
심플한 레시피로 전하는 확실한 행복
티라미수

이름도 낯선 티라미수를 처음 맛본 건 중학생 때였다. TV에 나온 새로운 음식이라면 꼭 먹어봐야 직성이 풀렸던 나는 레시피를 찾아 티라미수를 직접 만들었다. 그게 나의 첫 티라미수다. 그 당시 우리에게 티라미수는 낯선 존재였지만, 사실 티라미수의 본고장인 이탈리아에서는 어느 카페나 바를 가도 쉽게 만날 수 있는 국민 디저트다. 오랜 시간 사랑 받아온 만큼 ‘정통’, ‘클래식’ 이란 수식어가 찰떡같이 붙는다. 음식에 클래식이란 단어가 붙으면 고급 레스토랑이 연상되면서 왠지 어렵고 격식 있게 느껴지지만, 티라미수를 만들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것이다. 마치 엄마가 손에 익은 반찬을 뚝딱 만들어 내는 것처럼 눈감고도 만들 수 있을 만큼 쉽고 간단하다는 걸. 손맛 좋은 이웃집 이모 레시피가 이집 저집 소문나듯, 누구나 사랑할 수밖에 없는 티라미수도 어느새 자연스레 우리의 국민 디저트가 되었다.
갓 꺼낸 차가운 티라미수를 큰 수저로 큼직하게 떠서 투박하게 접시 위에 덜어내자. 우리에게 익숙한 티라미수 모양은 각진 네모, 둥근 컵에 담은 모양, 조각 케익 등 정갈한 모양새지만, 이탈리아에서는 보통 스푼으로 크게 떠서 서브한다. 무심한 듯한 이 방식이 왠지 더 매력적이다. 티라미수를 맛있게 만드는 나만의 팁이 있다면, 달콤 쌉싸름한 코코아 파우더를 채로 곱게 쳐서 원하는 만큼 먹기 전에 뿌리는 것이다. 그래야 코코아 가루가 뭉쳐지지 않아 먹을 때 텁텁하지 않다. 자 이제 드디어 기다리던 티라미수를 만끽할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