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호랑이’는 한국인의 문화, 정서 깊은 곳에 자리한 ‘호랑이’를 모티브로 자유로움과 자기다움을 표현하는 브랜드다. 조선 팔도를 호령했던 ‘산군’처럼 현대의 우리도 주체적이고 진취적인 삶을 살아가자고 말하는 이들의 브랜드 철학을 들여다본다.
- 글
- GEEP
- 사진
- 조선호랑이
한국인과 호랑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다.
어린 시절 여름밤이면 ‘옛날 옛적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에~’라는 첫 마디로 할머니의 전래동화 보따리가 풀어지곤 했다. 할머니의 입을 통해 쏟아지는 무수히 많은 이야기 속에서 호랑이는 단골 주연이었다. 떡장수 어머니를 잡아먹고 남매의 생명까지 위협하는 해님달님 속 무자비한 호랑이, 곶감을 자신보다 무서운 존재로 오해해서 도망치는 멍청한 호랑이가 있는가 하면 효심이 지극한 인간을 도와주고 은혜를 잊지 않은 착한 호랑이도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총 635회 호랑이가 등장하는데, 산의 왕을 뜻하는 ‘산군(山君)’, 호랑이에게 당하는 화를 의미하는 ‘호환(虎患)’ 등 호랑이에서 파생된 다양한 단어만 생각해도 우리 민족이 얼마나 호랑이와 밀접한 생활을 해 왔는지 알 수 있다.
호랑이는 부패한 권력자를 대변하는 어리석고 두려운 존재이기도 했지만, 정초가 되면 잡귀와 액운을 막기 위해 대문에 그림을 붙일 만큼 의지의 대상이자 영험함의 상징이었다. 두려움과 친근함, 어리석음과 신묘함을 두루 갖춘 이토록 복합적인 존재가 또 어디 있을까?
일제의 무자비한 사냥으로 조선 팔도를 누비던 호랑이는 자취를 감췄지만, 여전히 호랑이는 우리 마음속 가까이에 있다. 세계적인 축제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마스코트로 활약한 88올림픽의 ‘호돌이’와 평창 동계 올림픽의 ‘수호랑’만 떠올려도 그렇다. 민족성을 드러낼 기회가 있을 때마다 우리는 호랑이를 선택했다. 그리고 2021년 호랑이와 한국인의 관계성에 주목하여 잠들어 있던 조선의 호랑이를 깨워낸 브랜드가 있다. 한국의 스트리트 무드에 자유로움과 자기다움을 담은 의류 브랜드 ‘조선 호랑이’다.

전통과 고전 문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21세기 개성 표현법


조선의 임금이 시무복으로 입던 ‘곤룡포’와 ‘일월오봉도’를 모티프로 제작한 ‘일월오봉도 트렌치 코트’(좌), 조선 호랑이라는 브랜드를 알리는 출사표가 된 ‘조선 호랑이 자켓’(우)은 한국인의 기상을 가장 뚜렷하게 전하는 ‘맹호 기상도’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됐다.
일상에서 축적된 여행의 경험이 독특한 그래픽으로



선암사 호랑이 시리즈 – 주요 모티브로 활용한 선암사에 있는 승선교는 중생과 부처를 이어주는 다리로 고통의 세계에서 부처의 세계로 건너가는 중생을 보호하고 수용한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승선교 주변에 흐르는 은하수 물길은 우유니 소금 사막의 황홀한 색감을 표현했다.

고전 문화와 역사, 트렌디함을 입다